이혼종류 총정리
이혼은 지난날을 잘 정리하기 위한 선택이기 때문에
무엇보다 잘해야 합니다.
내가 생각하는 것처럼 쉽게 되는 것이 아니기때문에
각자의 상황에 맞는 방법을 적절하게 잘 선택해 철저한 준비가 필요합니다.
이혼을 진행하는 방식에 따라 대처해야하는 상황이 달라질수있기에
오늘은 이혼종류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대표적 이혼종류 - 협의/재판/조정이혼
이혼하는 방법에는 크게 협의이혼과 재판상 이혼의 두 가지가 있습니다.
부부가 이혼에 합의한 경우에는 협의이혼!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는 당사자 일방의 청구에 의해
법원의 재판으로 이혼하는 재판상 이혼!
위 둘의 중간이 조정이혼이라 보면 됩니다
이번글에서는 이혼종류 중 합의이혼과 재판이혼 그리고 혼인취소와 무효에 관해
다루도록하겠습니다.
이혼종류 -협의이혼(「민법」 제4편제3장제5절제1관)
부부 사이에 이혼하려는 의사가 있으면
법원에 이혼신청을 하고 일정 기간이
지난 후 법원의 확인을 받아 행정관청에 이혼신고를 하면 이혼의 효력이 발생하는데 이것을 협의이혼이라고 합니다.
협의이혼을 할 때 양육할 자녀가 있는 경우에는 자녀의 양육과 친권에 관한
사항을 부부가 합의해서 정하고
그 협의서를 이혼확인을 받을 때 법원에 의무적으로 제출해야 합니다.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는 법원이 직권 또는 당사자의 청구에 의해 정하게 됩니다.
위자료나 재산분할에 관한 사항도 부부가 합의해서 정하게 되는데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는 법원이 당사자의 청구에 의해 정하게 됩니다.
이혼종류 - 재판상 이혼(「민법」 제4편제3장제5절제2관 및 「가사소송법」 제4편)
협의이혼이 불가능할 때 부부 중 한 사람이
법원에 이혼소송을 제기해서 판결을 받아 이혼할 수 있는데
이것을 재판상 이혼이라고 합니다.
재판상 이혼이 가능하려면 다음과 같은 사유가 있어야 합니다.
1. 배우자의 부정한 행위가 있었을 때
2. 배우자가 악의로 다른 일방을 유기한 때
3. 배우자 또는 그 직계존속으로부터 심히 부당한 대우를 받았을 때
4. 자기의 직계존속이 배우자로부터 심히 부당한 대우를 받았을 때
5. 배우자의 생사가 3년 이상 분명하지 않은 때
6. 그 밖에 혼인을 계속하기 어려운 중대한 사유가 있을 때
이혼소송을 제기하려면 먼저 법원에 이혼조정신청을 해야 하는데
조정을 신청하지 않고 바로 이혼소송을 제기하면 법원이 직권으로 조정에 회부하게 됩니다.
이 조정단계에서 합의를 하면 재판절차 없이 (조정)이혼이 성립되며
조정이 성립되지 않으면 재판상 이혼으로 이행됩니다.
그 밖의 혼인 해소 사유 즉 이혼은 아니지만 결혼을 유지할 수 없는 상황으로
부부 일방이 사망하면 혼인이 해소됩니다.
또한 실종선고는 실종자를 사망한 것으로 간주하는 제도로(「민법」 제28조)
부부 일방이 실종선고를 받으면 실종기간이 만료한 때 사망한 것으로 보아 혼인이 해소됩니다.
< 혼인의 취소·무효>
이혼과의 차이 : 이혼, 혼인취소, 혼인무효 모두 혼인을 해소한다는 점에서는 동일합니다 하지만
이혼은 혼인의 존속 중에 발생한 사유를 원인으로 혼인을 해소하는 것인데 반해
혼인취소와 혼인무효는 혼인의 성립과정에서 발생한 법률상 장애를 이유로 혼인취소소송 혼인무효소송을 통해 혼인을 해소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혼인취소 : 다음의 사유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혼인취소소송을 통해 혼인을 해소할 수 있습니다(「민법」 제816조).
이 경우 혼인취소판결이 확정된 때부터 그 혼인은 장래를 향해 종료·해소됩니다(「민법」 제824조).
1. 혼인적령(만 18세)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
2. 미성년자 또는 피성년후견인이 부모 또는 성년후견인의 동의 없이 혼인한 경우
3. 6촌 이내의 혈족의 배우자, 배우자의 6촌 이내의 혈족
배우자의 4촌 이내의 혈족의 배우자인 인척이거나 이러한 인척이었던 사람과 혼인한 경우
4. 6촌 이내의 양부모계의 혈족이었던 사람과 4촌 이내의 양부모계의 인척이었던 사람과 혼인한 경우
5. 중혼(重婚)인 경우
6. 혼인 당시 당사자 일방에게 부부생활을 계속할 수 없는 악질이나 그 밖의 중대 사유가 있음을 알지 못한 경우
7. 사기 또는 강박으로 인해 혼인의 의사표시를 한 경우
혼인무효 : 다음의 사유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혼인무효소송을 통해 혼인을 해소할 수 있습니다(「민법」 제815조).
이 경우 혼인무효판결이 확정되면 그 혼인은 처음부터 없었던 것, 즉 처음부터 부부가 아니었던 것으로 됩니다.
1. 당사자 사이에 혼인에 대한 합의가 없는 경우
2. 8촌 이내의 혈족(친양자의 입양 전 혈족을 포함) 사이의 혼인인 경우
3. 당사자 사이에 직계인척관계가 있거나 있었던 경우
4. 당사자 사이에 양부모계의 직계혈족관계가 있었던 경우 입니다
지금까지 이혼의 종류에 대해
살펴보았습니다
'우리네 인생 법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꼭 알아야 하는 생활 법률 상식 6가지 (0) | 2022.04.26 |
---|---|
구속 그리고 기소 뜻 (0) | 2022.04.24 |
기각 각하 법률 용어 뜻 정리 (0) | 2022.04.20 |
집행유예 뜻 집행유예 기준 (0) | 2022.04.05 |
과태료와 범칙금 벌금 차이점 (0) | 2022.03.26 |
댓글